본문 바로가기

프레임워크14

BM사례_포지션 매트릭스(Position Matrix), 긴급/중요 매트릭스 포지션 매트릭스는 이전에 소개한 BCG매트릭스처럼 종축과 횡축으로 구분하여 직관적으로 다양한 항목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종축에 중요도, 횡축에 긴급성이나 상품의 가치 등을 배치하여 현재 상태의 포지션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4분법으로 분류하여 순위를 매기고, 시각화하므로서 다양한 분석과 각종 평가에 사용되어 집니다. 4분법으로 구분하면서 9개의 영역으로 세분화시키면 각 영역별로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긴급성과 중요성이 모두 높은 경우는 당연히 최우선 과제가 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눈 앞의 일만 처리한다면 장기적으로는 성장하기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9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보면 스트레스를 크게 받는 A1영역에 일이 몰리지 않도록 조절해야 합니다. 특히, A.. 2022. 5. 4.
BM사례_AS-IS, TO-BE에 의한 GAP분석 우리는 미래의 자신을 꿈꾸기도 하고 회사의 중장기계획을 수립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꿈이나 계획은 현실성이 없거나 습관화되지 못하거나 실행계획이 없어서 중도에 멈추게 된다. 그래서 시중에는 작은 습관을 키우는 법이나, 일만시간의 법칙, 다양한 애자일 실행계획 들이 있다. 이럴때 GAP분석을 해서 세부적으로 문제점을 나누고, 해결책을 보완할 수 있다. 물론 GAP분석 뿐 아니라 SWOT분석이나 포지션 매트릭스 분석 등 다양한 전략들도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최종적으로는 실행력을 보유하기 위해 습관화하거나 잘게 나누어 실행시켜야 한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처럼, 생각하던 것을 실천한다는 것은 그것만으로 절반의 성공이 된다. GAP분석은 AS-IS(현재의 상황)과 TO-BE(이상적인 지향점)과의 GAP(차.. 2022. 3. 2.
BM사례_GTD(Getting Things Done)로 일의 효율 높이기 GTD(Getting Things Done)는 일을 끝내는 것을 의미한다. 작업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데이비드 알렌이 저술한 같은 이름의 책 제목(Getting Things Done)에서 유래한 시간 관리 개념을 의미한다. Bottom-Up 방식의 일정관리방법이다. 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일을 수집하고, 명료화하고, 정리하여, 검토, 실천하는 단계를 따른다. 5단계 GTD 방법론 - 수집 : 전부 적어본다. - 처리 : 내용을 분류해 목록으로 만든다. - 정리 : 적절하게 배분한다. - 리뷰 : 일정표에 등록하고, 작업시간을 할당한다. - 실행 : 스케줄에 따라 업무를 처리해 나간다. 나에게 떨어지는 다양한 일들을 한 곳에 몰아서 정리, 기록한다. 어떤 일들이 있는지 확인한 후 실행가능.. 2022. 2. 28.
BM사례_탑다운과 바텀업(Top Down/Bottom Up)의 조합 탑다운과 바텀업에 의한 비즈니스 관리를 알아보자. 탑다운(Top Down)은 하향식 접근(위에서 아래로 이동, 전체적인 관점)을 말한다. 회사라면 전체적인 비전에 따라 만들어진 장기적인 계획이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거나 중장기계획이 수립되면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통솔성이 우수해진다. 탑다운 방식은 이러한 장기적인 계획이 잘못되는 경우 리스크가 아주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바텀업(Bottom Up)은 상향식 접근(아래에서 위로 이동, 지역적인 관점)을 말한다. 현장의 목소리나 개별 상황에 대해서 대응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유연성과 민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역적이므로 리스크는 작지만,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기는 어렵다. 업다운(Up-down)방식은 탑다운과 바텀업을.. 2022. 2. 25.
BM사례_로직트리(Logic tree)을 이용해 구조화하기 로직트리(Logic tree)를 이용하면 문제를 구조화해서 해결할 수 있다. 로직트리는 MECE의 사고 방법에 따라 분석을 보다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하여 문제를 구조화하는 도구를 말한다. 주요 항목을 Tree 형태로 분해/전개해 나가고, 구조화 때 MECE(상호배제와 전체포괄)를 고려하여 체계화 하면 된다.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문제와 원인을 그룹화 하고, 원인에 대한 검증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Parallel Logic Tree : 상호 배타적이며 동등한 요소로 구성됨(남자와 여자, 국내와 국외 등) Sequential Logic Tree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요소가 구성됨(단기/중기/장기, 일의 순서 등) 각 단계별 목적에 따라 이슈트리와 가설트리로 나눈다. 또 다양한 해결책을 찾는 방법에 따.. 2022. 2. 24.
BM사례_PDCA(Plan, Do, Check, Act) 사이클(Cycle) 1950년대 에드워드 데밍이 만든 비즈니스 프레임워크이다. 경영전략을 수립한 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 나갈 수 있다. PDCA는 1990년대 말부터 도입된 업무 관리 방법이다. 품질 개선을 위한 사고방식이며, 지속적으로 개선을 추진하게 도와 준다. PDCA : 계획(Plan)-실행(Do)-평가(Check)-개선(Act, 대책) PLAN(계획) 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전체적이고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한다. 과거의 실적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계획을 수립한다. DO(활동) 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실행한다. 성과를 기록하고 측정한다. CHECK(검토) 계획에 따라 실행되는지를 검토한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요인을 검토한다. ACTION(개선) 개선 조치를 실시한다. 개선에 따라서 계획을 조정한다. PDCA에서 .. 2022. 2. 23.
BM사례_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는 다양한 자료로 부터 성과를 나타내도록 정보화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책 '프레임워크의 기술'에서 소개하는 평균이익율은 월별 매출과 이익을 이용해 새롭게 만들어진 성과지표이다. 이를 이용해 각 지사의 평균이익율을 계산하므로서 판단의 축으로 사용되는 특정지표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특정지표에 의해 마케팅이나 새로운 계획을 만든다면 평균이익율 항목은 핵심성과지표가 된다. 책에서는 세가지 지표가 제시된다. - 판단의 축이 되는 지표는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라고 한다. - 목표 설정에 사용되는 지표는 KGI(Key Goal Indicator)라고 한다. -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속도의 지표.. 2022. 2. 22.
BM사례_MECE(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중복없이 누락없이) 사회에서 대리 정도 까지는 대부분 혼자서 할 수 있는 일 정도를 한다. 과장 정도가 되면 하나의 프로젝트를 소화할 정도가 된다. 부장 정도가 되면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관리할 정도가 된다. 보통 10년차 정도가 되면 일의 프레임워크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직급 별로 하는 일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일의 뼈대를 알기 위해서는 일 자체를 분할해서 팀원들에게 배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때 로직트리를 만들고 각자의 직무에 맡는 일을 나누어 줄 수 있어야 한다. 어떻게 일을 분할해야 중복되거나 누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까. MECE를 이용해서 일을 나누어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 해결 프레임워크에서 가장 기본적인 일의 뼈대를 의미한다. 다음과 같이 구분된댜. Mutually Exclusive : 상호배제,.. 2022. 2. 21.
일의 목적, 내용, 순서를 파악하자_프로세스의 기술 책 '프로세스의 기술'은 일을 하면서 성과를 내는 방법을 소개한다. 일과 관련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직급상 신입사원부터 임원 직전의 부장이나 이사정도가 관련되어 있다. 직급으로 보면 사원부터 대리까지는 새로운 일에 대한 매뉴얼 이해, 일에 대한 분석 등이 업무의 주된 일이 된다.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과 정형적인 의사결정이 주를 이룬다. 그래서 나를 중심으로 일한다. 일을 처음 시작하는 하수부터 일을 조금씩 알아가는 중수의 과정이다. 직급으로 보면 과장부터 차장정도까지의 중견 사원(관리자)의 경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 자신이 전문가 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점차적으로 다른 사람과의 관계와 협의가 중요해진다. 이제 점점 상대방이 중요해진다. 중수의 실력을 갖고 있으면서 점차적으로 고수로 가는 과정이.. 2022.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