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국내에도 다양한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책들이 나와 있다. 앞서 이야기 한 바 있지만, 비즈니스모델은 경영에 있어서 프레임워크, 체계와 체제를 갖추는 것이다.
아래 적혀 있는 바와 같이 비즈니스모델은 기존의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일련의 개념이고, 다양화·복잡화·네트워크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가치를 창조·전파·획득하는 방법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여야 한다.
질레트 면도기의 ‘갈아 끼우는 날 모델’과 애플의 ‘역 갈아 끼우는 날 모델’이 유명하다.
오픈이노베이션과 혁명·혁신의 시대이기 때문에 경쟁보다는 고객 우선, 경쟁보다 창조적이어야 한다.
아래 그림의 왼쪽은 불확실성의 양면을 나타낸 것이다. 가장 불확실한 것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확률이 50:50인 상황이다. 내일 비가 올 확률이 50%이고, 화창할 확률이 50%라면, 누가 기상예보를 믿겠는가. 이런 불확실성이 커진 세상에서 미래를 보려면 지속적인 노력과 스스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아래 그림의 오른쪽은 테슬라가 가지고 있던 비즈니스모델이다. 1단계에서는 높은 가격에 로드스터를 판매하였고, 2단계에서는 적정 가격의 모델S 를 판매하였다. 2017년에는 보급형으로 가격을 크게 낮춘 모델3을 판매하였다. 이제 지금은 자율주행자동차와 트럭으로 확대하여, 새로운 시장을 완전히 선도하고 있다.
아래의 글은 http://www.bloter.net/archives/283441 의 글을 다시 정리한 것이다.
애플 에반젤리스트(기술전도사) 출신이자 실리콘밸리 벤처투자자인 가이 가와사키가 말하는 9가지 비즈니스 모델이 있다. 세부적인 내용은 링크를 확인하기 바란다.
1.독립솔루션 (Individual Solution Model)
- 특정 분야 틈새시장
2. 복합요소 비즈니스 모델 (Multi Component Model)
- 다양한 제품을 많은 채널에 공급
3. 시장 주도 모델 (Market Leader Model)
- 애플
4. 핵심요소 비즈니스 모델 (Valuable Component Model)
- 특정한 업계, 꼭 필요로 하는 제품, 돌비
5. 프린터와 토너 모델 (Lazor and Blades Model)
- 면도기와 면도날
6. 프리미엄 모델 (Freemium Model)
7. 아이볼 모델 (Eyeballs Model)
- 훌륭한 콘텐츠 개발
8. 가상 상품 모델 (Virtual Goods Model)
9. 장인 모델 (Craftsman Model)
이러한 비즈니스모델들을 유형별로 정리한 표가 아래 제시되어 있다.
비즈니스모델 유형 |
내용 | 사례 |
상품의 서비스화 |
상품을 한번 판매하고 끝내는 대신, 상품의 주요기능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고 사용량을 기반으로 과금(Pay-per-use)하여 지속적인 수익 획득 흐름을 창출 공유경제, 공유서비스 |
힐티 (건설공구) GE 에어 (비행기엔진) |
면도기-면도날 | 함께 사용하는 두 제품 중 주력제품의 가격은 낮게 책정해 매출 규모를 늘리고, 부속 소모품의 가격은 높게 책정해 수익을 획득 프린터와 토너 모델 (Lazor and Blades Model) |
질레트 (면도기) Hp (프린터- 잉크 카트리지) |
逆 면도기 -면도날 |
마진이 높은 주력제품의 가격을 높게 책정해 수익을 확보하고, 이의 사용가치를 높이는 부가제품/서비스의 가격은 낮게 유지 시장 주도 모델 (Market Leader Model) |
애플 (아이팟, 아이튠즈) |
프리미엄 (Freemium) |
기본 서비스는 무상 제공하여 사용자를 확보하고, 정품이나 업그레이드 버전에 과금하여 수익을 창출 인터넷 대부분의 서비스 (Freemium Model) |
스카이프 (Volp) 어도비 (S/m) |
분할 (Fractionali -zation) |
묶음으로 제공하던 기능/서비스를 작게 나눠 제공하면서 별도 과금하거나, 한 제품에 대한 사용시간을 쪼개서 여러명이 이용하고 사용료를 분담 | 젯스타 (서비스분할) 넷젯츠 (비행기 분할) |
양면시장 | 서비스 이용자에게 직접 과금하지 않고, 광고주 등 제3자로부터 수익을 창출 | 구글 등 |
아래의 그림은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서 2015년에 나온 기사이다.
https://hbr.org/2015/01/what-is-a-business-model
이 글에는 비즈니스모델이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비즈니스모델 유형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제휴카드(Aaffinity), 중개 판매(Brokerage), 결합(묶음)판매(Bundling), 휴대폰 판매(Cell phone), 클라우드소싱(Crowdsourcing), 직거래(Disintermediation), 분할판매(Fractionalization), 프리미엄(Freemium), 임대서비스(Leasing, 리스와 렌탈), 셀프서비스(Low-touch), 네가티브운영사이클(Negative oerating cycle), 사용단위 지불(Pay as you go), 면도기/면도날(Razor/blades), 역 면도기/면도날(Reverse razor/blades), 역 경매(Reverse auction), 제품의 서비스화(Product to service), 표준화(Standardization), 구독료(Subscription), 사용자 커뮤니티(User Communities) 등 이다.
지금도 비즈니스 모델은 지속적으로 변화되며, 성장하고 있다.
.END
'Business > Business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오션전략 이해하기2 (0) | 2022.01.13 |
---|---|
블루오션전략 이해하기1 (0) | 2022.01.12 |
성공적인 비즈니스모델의 조건은 무엇인가 (0) | 2022.01.12 |
골든 서클(Golden Circle)의 핵심, 왜(Why)에 집중하라 (1) | 2018.07.05 |
하이브리드 비즈니스 모델로 사고를 혁신하자 (0) | 2018.07.04 |
댓글